워드프레스 4.1 세부사항

1. 새로운 기본 테마 Twenty Fifteen

Twenty Fifteen은 구글 노토(Noto) 폰트 패밀리의 도움으로 흠 없는 언어 지원을 갖추고 있습니다. 직관적인 타이포그래피는 어떤 화면 크기에서도 가독성이 높습니다. 콘텐츠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 어떤 기기에서 보더라도 항상 중앙에 자리잡게 됩니다.

노토 폰트는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폰트입니다. 한글도 있으나 웹폰트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한글의 경우 한문이 포함되기 때문에 용량이 아주 크고 브라우저별로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웹폰트 변환이 어렵습니다.

2. 글쓰기 집중 모드

가끔은 자신의 생각을 글자로 만드는데 집중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글쓰기 집중 모드를 활성화 해서 해보세요. 글자 입력을 시작하면 집중에 방해되는 요소는 사라지고 글쓰기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편집 도구가 필요할 경우 바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면 옵션에서 ‘전체 높이 편집기 및 글 집중 모드 기능 활성화’에 체크돼있어야 합니다. 편집기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활성화됩니다. 편집기에 클릭하면 좌우측의 메뉴나 메타박스가 페이드 아웃되고 마우스를 편집기 외부로 이동하면 다시 나타납니다.

3. Vine 비디오 임베드 지원

Vine은 6초짜리 비디오로 인기가 높은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짧기 때문에 비디오라기 보다는 GIF 애니메이션에 가깝습니다.

https://vine.co/

위 사이트에서 원하는 비디오를 선택합니다.

URL을 복사합니다.

텍스트 탭을 클릭하고 붙여넣은 다음 비주얼 탭을 클릭하면 동영상이 로드 됩니다.

다른 CMS는 아래와 같이 임베드 코드를 복사해 사용합니다.

4. 언어 선택

번역 사이트에서 번역이 완료된 것은 모두 해당 언어로 사이트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5. 모든 곳에서 로그아웃

자신의 계정이 다른 곳에 로그인 된 상태에서 로그아웃을 잊었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의 프로필에서 전체 로그아웃 할 수 있습니다.

6. 플러그인 추천

자신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설치된 플러그인을 기준으로 관련성이 높은 플러그인을 추천하는 기능입니다.

워드프레스 4.1 베타 1 버전 발표

워드프레스 4.1 베타가 지난 10월 29일 발표 예정이었지만 상당히 늦어져 어제서야 발표됐습니다. 따라서 정식 버전 발표도 늦어지겠지만 다음 달 이내에는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몇가지 표면상으로 바뀐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wordpress.org/wordpress-4.1-beta1.zip

영문버전이라도 설치 시 한글을 선택하면 한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글쓰기 집중 모드

글이나 페이지 편집기에서 글을 작성하면 좌우측의 요소들이 사라지고 자동으로 글쓰기 집중모드로 전환됩니다. 마우스를 편집기 외부로 이동하거나 탭을 누르면 다시 나타납니다.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는데 아직은 이 기능을 해제하는 기능은 없는 것 같습니다.

2. 언어 전환 기능

워드프레스 국제화에 한걸은 더 나아가서 한번 설치로 다양한 언어로 변경할 수 있게 됐습니다. 설정-일반에서 사이트 언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글 이미지 편집 도구 아이콘 추가

글 내부에 있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전에는 편집과 제거 아이콘만 있었으나 4가지 정렬 아이콘이 추가돼 이미지를 바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4. 새로운 기본 테마 Twenty Fifteen

워드프레스는 매년 기본테마를 추가하는데 이번에 추가되는 테마는 단순함을 추구하는 블로그 전용 테마입니다. 따라서 아주 단순한 구조이지만 이전과는 달리 헤더나 주 메뉴가 사이드바에 위치합니다.

현재 몇 가지 프리미엄 테마를 설치해 사용해보고 있는데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3.9 RC1 발표

오늘 날짜로 워드프레스 3.9 버전의 RC1이 발표됐습니다. 한글 언어 파일을 포함한 버전은 아래 파일을 사용하세요.

wordpress-3.9-RC1-ko_KR.zip

현재 플러그인 형태로 개발 중으로 코어에 포함된 것은 위젯 사용자 정의 기능(Widget Customizer) 밖에 없으니 추가될 예정인 다른 기능은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

Admin Help

Front-end Editor

워드프레스 3.9 버전 기능 미리보기

워드프레스 정식 3.9 버전 발표가 10여일 남았습니다. 추가될 주요 기능은 플러그인 형태로 개발되며 현재 위젯 커스터마이저만 베타 버전에 포함됐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플러그인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40

위 플러그인 중에서 기능 추가가 확실시 되는 것은 상단의 4개 입니다. 코어에서 변경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편집기 기능 변경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tinymce라는 편집기를 사용합니다. 이 편집기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워드프레스의 편집기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특히 도구의 용어 변경입니다.

26-1

3.8 버전의 편집기 도구의 용어는 위와 같습니다. 아래는 3.9 버전의 도구 용어입니다.

25

– 순서 없는 목록(Unordered list)와 순서 있는 목록(Ordered list)는 HTML에서 쓰는 전문적인 용어인데 이들은 불릿 목록(Bullet list)와 숫자 있는 목록(Numbered list)로 바뀌었습니다.

– 수평선 기능이 추가됐고 글을 분리하는 기능을 합니다.

– 기존의 키친씽크는 툴바 토글로 변경됐습니다. 키친씽크라는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구글 검색을 해야할 정도로 보편화되지 않은 용어입니다.

– 글 집중 모드를 위한 전체화면 아이콘은 도구모음에 배치되지 않고 편집기의 우측 끝으로 이동했습니다.

– 기존의 내어쓰기(Outdent)는 들여쓰기 감소(Decrease Indent)로, 들여쓰기(Indent)는 들여쓰기 증가(Increase indent)로 바뀌었습니다. 글의 기본 상태에서는 내어쓰기를 할 수 없으니 합리적인 용어변경입니다.

– 기존의 워드에서 붙여넣기는 제거되고 일반 텍스트 붙여넣기 하나만 남았으며 이 도구를 클릭하면 이전에는 텍스트 입력 상자가 나타났지만 이제는 이 도구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메시지 창이 뜨고 이 도구가 활성화 되면 일반 텍스트 붙여넣기 모드로 전환됩니다.

26

도구를 클릭하면 활성화 됐다는 표시로 도구에 테두리가 나타납니다.

27

텍스트 색상 도구는 이전에는 더많은 색상을 클릭해 많은 색을 만들 수 있었는데 새로운 버전에서는 제거됩니다. 또한 툴팁의 모양도 바뀌었습니다.

41

글자 스타일부분은 스크롤이 불편해서 수정해 쓰고 있었는데 이번에 코어에서 수정됐습니다.

2. 테마 검색 화면 변경

28

새로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디자인이 바뀌었습니다. 인기와 최근 탭을 클릭하고 스크롤하면 테마가 무한 스크롤 기능으로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29

테마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모양이 됩니다.

3. 이미지 업로더 기능의 향상

30

탐색기에서 이미지를 선택하고 편집기로 직접 클릭 & 드래그 해서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장의 이미지 추가도 가능합니다.

31

편집기에 바로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추가되고 글에 삽입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됩니다.

32

추가한 후에는 조절점을 클릭 드래그해서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3

편집 아이콘을 클릭해 이미지의 상세 정보를 변경하거나 Edit Original 버튼을 클릭해 이미지를 추가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34

Edit Original 버튼을 클릭한 후의 화면입니다. 이미지 내부를 클릭 드래그하면 자르기 툴이 나타나고 아이콘을 클릭하면 잘라집니다.

4. 비디오, 오디오 목록 만들기

이전 버전에서는 비디오나 오디오를 추가하면 링크가 만들어지고 링크를 클릭하면 어두운 배경에서 비디오나 오디오가 실행됐습니다. 3.9 버전에서는 실행 목록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투브처럼 블로그 화면에서 직접 실행 할 수 있습니다.

35

비디오나 오디오는 업로드 창에서 처음에는 실행 목록 만들기 링크가 안보이고 미디어를 추가한 후에 나타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편집 화면이 나타납니다.

36

캡션과 설명을 입력하고 새 비디오 실행 목록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37

다음 화면에서 이미지 보이기를 체크 해제하고 비디오 실행 목록 삽입 링크를 클릭하면 추가됩니다.

37-1

편집기에 비디오 목록이 추가된 모양과 사이트에서의 모양입니다.

38

오디오는 위와 같은 형태입니다.

39

이미지 갤러리를 만들면 이전에는 이미지가 나타나지 았았으나 새 버전에서는 갤러리 이미지가 나타납니다.

5. 아키스밋 플러그인 관리 화면 분리

42

설정 메뉴에 아키스밋 설정 화면이 추가됐습니다.

국내 무료 호스팅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국내 호스팅 회사 중 닷홈의 무료 호스팅 사용 방법과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무료 호스팅은 업체의 무료 서비스이므로 편중될 경우 업체의 부담을 가져올 수 있으니 검색하면 많이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다른 사이트에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하나의 예를 든 것입니다.

http://www.dothome.co.kr

위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free (1)

회원가입 링크를 클릭하고 다음 화면에서 정보 이용을 위한 동의를 합니다.

free (2)

회원 가입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메일 중복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인증 코드 발송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를 클릭하고 이메일에서 인증 코드를 복사해 인증코드 기입란에 붙여넣은 다음 회원 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3)

메인화면 가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4)

로그인 하고 웹호스팅의 무료호스팅을 클릭합니다.

free (5)

다음 화면에서 하단의 워드프레스 무료 자동설치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6)

무료 호스팅은 호스팅 회사의 서비스이므로 반드시 실제로 사용할 분만 신청하라고 합니다. 서비스가 좋고 마음에 들면 유료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항을 숙지 했습니다”에 체크하고 무료호스팅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7)

계약자 정보 생년월일과 주소를 입력하고 웹호스팅 정보의 FTP 아이디 중복확인을 클릭한 다음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무료호스팅의 무료 제공 주소는 FTP 아이디를 사용합니다. DB 비밀번호는 FTP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free (9)

워드프레스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무료계정 사용정책 동의”에 체크한 다음 확인 단어를 입력하고 이메일 인증을 합니다. 완료되면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10)

다음 화면에서 무료 호스팅 신청이 완료됐다고 합니다. 도메인 주소를 블럭설정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도메인으로 이동 링크를 클릭합니다.

free (11)

기본 테마가 Twenty Twelve로 나타납니다. 도메인 다음에 /wp-admin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른 다음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free (12)

닷홈에서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게 해놨는지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버튼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면 파일질라를 이용해 워드프레스를 최신 버전으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내려받기

https://ko.wordpress.org/

위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

free (13)

워드프레스 3.8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적당한 폴더에 내려받은 다음 압축을 해제합니다.

파일질라 내려받기

https://filezilla-project.org/

위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free (14)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를 내려받아 실행합니다.

free (15)

파일질라를 열고 FTP 접속 정보를 입력하고 포트는 21로 한 다음 빠른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접속됩니다. 좌측 패널은 내려받아 압축을 해제한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 폴더로 들어가 상태이고 우측은 웹호스팅에 접속하고 html 폴더를 더블클릭해서 들어온 상태입니다. 파일을 비교해보면 우측은 .htaccess 파일과 wp-config.php 파일이 있습니다. .htaccess 파일은 숨김 파일이므로 보이지 않을 경우 메뉴에서 서버–>숨김파일 표시를 클릭하면 나타납니다.

free (16)

좌측의 패널을 클릭하고 Ctrl+A 키를 누르면 모두 선택됩니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해서 업로드를 클릭하면 모든 파일이 업로드 됩니다. 우측의 중요한 파일인 .htaccess 파일과 wp-config.php 파일이 왼쪽에는 없으므로 덮어쓰기가 안됩니다. 즉 중요한 정보가 있는 이 두 개의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free (17)

경고 창이 나오면 항상 이동작 사용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free (18)

파일질라에서 모든 파일이 업로드 되면 워드프레스 화면으로 와서 새로고침하면 위처럼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해야 한다고 합니다.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19)

다음 화면에서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20)

업데이트가 완료됐고 링크를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3.8 소개 화면이 나타납니다.

free (21)

닷홈과 같이 호스팅을 만들면서 워드프레스를 동시에 설치해주는 경우 위처럼 워드프레스를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주지 않는 경우 파일질라로 접속해서 워드프레스를 업로드 하고 일반적인 설치 과정을 거치면 됩니다.

일반적인 설치방법

일반 적인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free (22)

리모트 서버 패널의 html 폴더에 들어오면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우측의 로컬 패널에서 워드프레스의 모든 파일을 선택해서 업로드 합니다.

free (23)

업로드 완료 후 웹브라우저에서 도메인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위처럼 환경설정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24)

다음 화면에서 환경설정 파일에 필요한 정보가 나옵니다. 이미 웹호스팅 설정할 때 입력한 정보들입니다. Let’s go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25)

대부분의 경우 처음 3가지만 필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트는 웹호스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localhost를 사용하며 아닐 경우 웹호스팅 마이페이지에 보면 나옵니다. 위처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 (26)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28)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아닌 워드프레스 사이트 정보를 입력하고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free(29)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화면에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이 나타납니다.

MAMP를 사용해서 애플 컴퓨터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맥 컴퓨터 사용자는 내컴퓨터에 서버 환경을 만들려면 MAMP(Machintosh + Apache + MySQL + PHP)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설치하고 워드프레스까지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005

http://www.mamp.info/en/index.html

위 링크로 이동해서 MAMP 일반 버전을 내려받습니다.

006

다운로드 폴더에서 zip 파일을 클릭해서 압축을 해제합니다.

007

파인더에서 MAMP_2.2.pkg를 우클릭해서 다음으로 열기–>설치 프로그램.app를 선택하면 다음 창이 나타납니다.

008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009

일반 버전인 MAMP와 MAMP PRO 버전을 설치한다고 합니다.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010

영어를 선택하고 계속 버튼을 누른 다음 “동의”를 클릭합니다.

011

모든 사용자를 위해서 설치를 선택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012

다음 창에서 사용자화를 선택해서 Pro 버전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설치를 클릭합니다.

013

시스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소프트웨어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014

설치가 완료되면 닫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014-1

시스템 환경 설정에서 공유를 선택한 다음 인터넷 공유에 체크돼있으면 해제합니다. 내장된 MySQL이 작동 중이면 위 화면에서 사용을 중지합니다.

015

워드프레스 내려받기

016

https://ko.wordpress.org/

위 링크에서 워드프레스 한글 버전을 내려받습니다.

017

압축을 해제한 후 wordpress 폴더를 복사합니다.

018

응용 프로그램–>MAMP–>htdocs 폴더에 붙여넣습니다. MAMP.app를 더블 클릭해서 MAMP를 실행합니다. MAMP Pro는 제거해도 됩니다.

019

시작할 때 MAMP Pro 버전을 실행한다고 하니 체크해제하고  Launch MAMP를 클릭합니다.

020

Start Servers 버튼을 클릭하면 아파치 서버와 MySQL 서버의 두번째 아이콘이 녹색으로 변하면서 웹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URL에서 아파치 서버의 포트는 8888이고 MySQL의 포트는 8889로 나타나는데 일부 프로그램에서 호환이 안되므로 이를 나중에 변경하고 우선 MySQL의 사용자명과 비밀번호가 root라는 것을 기억해둡니다. 상단에서 phpMyAdmin 탭을 클릭합니다.

021

데이터베이스 탭을 선택하고 wordpress를 입력한 다음 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022

MAMP 창에서 Preferences 버튼을 클릭해서 Start/Stop 탭을 선택하고 첫 번째 항목에 체크하면 MAMP 시작시 서버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Ports 탭을 선택하고 “Set to default Apache~~” 버튼을 클릭하면 아파치와 MySQL 표준 포트로 전환됩니다. OK 버튼을 클릭하면 각 서버 프로그램이 재시동됩니다.

023

Open start page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탭에서 바뀐 포트로 시작 화면이 나타납니다.

024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localhost/wordpress 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위처럼 나옵니다. “환경 설정 파일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위 안내문 대로 수동으로 설치합니다. 이것은 나중에 설명합니다.

025

5가지 정보가 필요하다고 하고 이 화면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해결 방법도 나옵니다. Let’s go 버튼을 클릭합니다.

026

사용자 이름과 암호에 root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클릭합니다.

027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028

각종 정보를 입력합니다. 이것은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다르고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사용되는 정보입니다. 완료 후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됐다는 메시지 창이 나오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해서 로그인 하면 아래와 같은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이 나타납니다.

029

수동으로 설치하기

030

주소창에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렀는데도 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 환경설정 파일을 수동으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wordpress 폴더를 열고 wp-config-sample.php 파일을 편집기에 엽니다.

031

3 곳에서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명,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파일명을 wp-config.php로 하고 저장한 다음, 웹브라우저 주소 창에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

내 컴퓨터(Windows)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워드프레스가 외국 프로그램이라서 WAMP를 사용해 내컴퓨터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경우 WAMP가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번거로운 점이 있어서 국내 웹서버 프로그램인 오토셋을 이용한 내 컴퓨터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내 컴퓨터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Autoset 설치하기

워드프레스는 설치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블로그 프로그램이지만 정적인(Static) 콘텐츠가 아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불러와서 동적인(Dynamic) 콘텐츠를 생산하는 PHP에 의해 작동하는 프로그램입니다. PHP는 인터넷 서버 환경에서만 작동하므로 워드프레스를 시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일이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할 수는 없는 일이고, 테마를 수정한다거나 새로운 테마를 만들려면 웹호스팅 서버에 업로드해서 작업하기가 불편합니다. 그래서 내컴퓨터에 서버 환경을 만들어 웹호스팅과 같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그러자면 서버를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 3가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우선 워드프레스는 PHP 언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PHP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PHP로 만든 콘텐츠를 인터넷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파치 웹서버입니다. 또한 워드프레스에서 작성된 모든 글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방문자의 클릭에 따라 글이 보여지며, 글의 저장을 담당하는 역할은 MySQL이라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 담당합니다. 서버 환경을 구축하려면 이러한 세 가지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면 됩니다.

이 세 가지 프로그램을 제각기 설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세 가지 프로그램이 한데 묶인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면 서로 연동하기 위해 설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병합된 프로그램은 이미 서로 연동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한번의 설치로 바로 서버 환경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조합을 스택(Stack: 쌓아놓은 것, 조합)이라고 합니다. 이 스택은 웹서버인 아파치(Apache), 데이터베이스인 MySQL, 그리고 PHP의 첫 글자를 따서 AMP라 하고, 운영체제에 따라 WAMP(Windows+AMP), MAMP(Macintosh+AMP), LAMP(Linux+AMP)가 있습니다.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Autoset, Amp_setup이 있습니다.

모든 운영체제에 설치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인 XAMPP(X:Cross+AMP+Perl)가 있지만 XAMPP는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합니다. 이러한 각 스택은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 스택도 무료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택은 내려받아서 설치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사용자 비중이 가장 높은 윈도우 환경에 설치할 수 있는 Autoset 8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아래 URL로 이동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autoset.net/xe/download_autoset_8_0_0

image1 (1)

시스템에 따라서 64비트용과 32비트용이 있으니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프로그램을 내려 받으세요. 서버가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해서 내려받습니다. 5개의 파일로 나눠져 있으니 모두 내려받아서 압축 해제하면 1개의 파일로 됩니다.

image1 (2)

AutoSet800Patch3_x64.exe 파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설치됩니다. 설치하기 전에다른 AMP 프로그램을 사용중이라면 모두 중지하고 실행합니다. 한국어를 선택하고 마지막 화면에서는 설치될 하드디스크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image1 (3)

구성 요소 설치 창에서 스크롤 바를 내려서 보면 워드프레스까지 설치됩니다. 마지막 창에서처럼 경고 메시지가 나오면 Automatically~에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1 (4)

설치가 진행되고 제 경우에는 WAMP 서버가 작동 중에 설치했더니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럴 경우 제어판에서 프로그램을 제거하고 설치 폴더도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최종 화면에서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방화벽 차단 관련 메시지가 나오기도 하는데 액세스 허용에 클릭합니다.

image1 (5)

오토셋을 처음 실행하면 웹서버(80)만 실행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으로 MySQL과 큐브리드가 있는데 여기서는 MySQL을 사용합니다. 제어 메뉴에서 MySQL을 클릭하면 실행됩니다. 설정 메뉴에서 여러 가지 설정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위 세 번째 그림은 설정–>오토셋 설정–>오토셋 기본 정보를 클릭하면 나오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시작옵션과 종료옵션에 체크하고 아래로 스크롤 해서 변경사항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오토셋 종료와 시작 시 이들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시작하거나 종료됩니다.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없는 경우 설치 폴더에서 AutoSet.exe 파일을 클릭하면 되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듭니다.

위에서 자동 종료되도록 설정했지만 실제로는 윈도우 시작프로그램에서 아파치 웹서버와 MySQL, 큐브리드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다른 웹 서버 프로그램(WAMP)을 사용하면 서로 충돌이 일어나서 해당 프로그램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 실행을 꺼주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age1 (6)

윈도우 제어판의 모든 제어판 항목에서 관리도구–>서비스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AutoSet7_Apache와 Autoset7_MySQL의 행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속성을 선택하면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자동을 수동으로 전환합니다. 아래로 스크롤해서 Cubrid Service는 “사용안함”으로 설정합니다. 변경사항은 재부팅 후 적용되며 이와 같이 설정하면 오토셋 종료 시 모든 서비스가 종료되므로 WAMP서버를 가동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age1 (7)

오토셋을 설치하고 설치 폴더에서 public_html 폴더로 들어가면 여러 가지 CMS 프로그램이 들어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영문 버전이므로 한글 언어 파일을 설치하는데 번거로우므로 폴더를 제거합니다. 또한 다른 프로그램도 혼동이 되므로 모두 제거합니다.

image1 (8)

https://ko.wordpress.org/

위 링크로 이동해서 파란색의 버튼을 클릭해서 워드프레스 한글 버전을 오토셋 설치 폴더의 public_html 폴더에 저장합니다. 압축을 해제하고 폴더 안으로 들어가서 wordpress 폴더를 복사해서 public_html 폴더에 붙여 넣습니다.

image1 (9)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오토셋의 메뉴에서 제어–>phpMyAdmin을 클릭하면 기본 웹 브라우저에 우측 그림처럼 나타납니다. 오토셋의 MySQL은 기본적으로 비밀번호가 설정돼 있습니다. 사용자명에 root, 비밀번호에 autoset을 입력하면 로그인 됩니다.

image1 (10)

Database 탭을 클릭하고 입력란에 wordpress를 입력합니다. 이것은 워드프레스가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이름입니다. 우측의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좌측 사이드바에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만들어집니다.

image1 (11)

웹 브라우저의 주소란에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나중에 설명합니다. 환경 설정 파일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1 (12)

다음 화면에서 5가지의 정보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1은 이미 만들었고 2와 3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3은 localhost이고 5는 다음 화면에서 나타납니다. Let’s go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1 (13)

위처럼 입력합니다. 테이블 접두어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서 여러 개의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경우 서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두어를 다르게 할 수 있습니다. 전송 버튼을 클릭합니다. 간혹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워드프레스 로그인 사용자명과 비밀번호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image1 (14)

이전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졌으니 이제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입니다.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1 (15)

사이트 제목을 원하는 것으로 입력합니다. 사용자명은 워드프레스 로그인 사용자명으로 보통 admin으로 돼있는데 웹호스트에 설치하고 사용할 경우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사용자명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비밀번호 또한 문자, 숫자, 특수문자, 영문 대소문자를 섞어서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1 (16)

설치가 모두 완료됐다고 합니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이 나타납니다.

환경설정 파일 만들기

주소창에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렀는데도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동으로 wp-config.php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image1 (17)

wordpress 폴더에서 wp-config-sample.php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텍스트 편집기(Open with Sublime Text)를 선택합니다. 편집기는 아래의 링크에서 내려받아 설치합니다.

http://www.sublimetext.com/2
http://www.sublimetext.com/3

image1 (18)

3곳에서 데이터베이스 이름인 wordpress,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명인 root,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인 autoset을 각각 입력합니다. Ctrl+Shift+S키를 눌러서 –sample을 제거하고 wp-config.php 파일로 이름을 변경해서 저장합니다. 그런다음 주소창에서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